마인크래프트 1.19.3 버전이 나온지 2일 만에 이를 지원하는 페이퍼 버킷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페이퍼 버킷의 다운로드 및 사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페이퍼가 무엇인가요?
PC 버전(자바에디션)의 마인크래프트에서는 다른 사람들과 멀티플레이를 하기 위해 서버를 직접 열 수 있습니다.
보통 이 서버를 열 때, 버킷(서버구동기)을 이용해서 서버를 여는데 페이퍼는 이 버킷 소프트웨어 종류 중에 하나입니다.
꾸준한 유지보수 및 업데이트와 규모 있는 커뮤니티를 갖추고 있는 프로젝트여서 현재 다들 페이퍼 버킷을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어떤 플러그인을 지원하나요?
페이퍼 버킷에서는 크래프트버킷(CraftBukkit), 스피곳(Spigot), 페이퍼 API를 지원합니다.
즉, 1.19.3 버전만 지원한다면 버킷과 스피곳 구동기를 지원한다는 플러그인을 페이퍼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 가장 베스트는 페이퍼를 지원한다는 플러그인을 사용하는게 좋겠죠?
어떻게 다운받고 사용하나요?
제가 파일들을 업로드 해놓고 관리하고 있는 한마포 서버구동기 글을 통해 페이퍼 버킷을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마인크래프트 1.19.3 버전용 뿐만 아니라 다른 버전들도 준비되어있고, 새로운 페이퍼 버전들이 나올 때마다
해당 글에 업로드 해놓은 파일들에도 직접 적용시키고 있으니 마음놓고 간편하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버킷을 이용해서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처음 열어보시는 분들은 따로 가이드를 꼭 확인해주세요!)
페이퍼 이외에 다른 버킷도 있나요?
요즘 페이퍼 외에는 보통 스피곳이나 퍼퍼 버킷을 사용합니다. 스피곳은 페이퍼의 아빠뻘 프로젝트이기에,
그만큼 페이퍼 전에는 마인크래프트 서버 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오던 버킷입니다. 지금은 페이퍼에 밀려서 사용률이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유지보수 위주로 운영되고있고 1.19.3 버전용으로도 가장 먼저 나왔습니다. 다만 저작권 문제로 다운로드 방법이 까다롭습니다..
퍼퍼 버킷은 어느정도 규모 있는 서버를 여는데 특화된 프로젝트입니다.
서버를 구동하고나서 생성되는 yml 파일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게임 요소들을 설정해서 서버에 대한 커스텀마이징이
가능합니다. 페이퍼와 마찬가지로 꾸준히 유지보수가 진행되고있고, 스피곳 및 페이퍼 플러그인들도 사용할 수 있구요.
자료 출처
페이퍼 코어 (Paper) : https://papermc.io
개발자 : PaperMC
저작권 : GNU GPL 3, 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