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아니 심지어 멀티플레이를 즐기는 대다수의 유저들도
알고있는 서버파일계의 대작! 필수 서버파일 Essentials 최신버전 적용하기!
마인크래프트 1.7.10 에센셜 플러그인 소개
이번 포스트에서는 여러분들이 멀티플레이 서버를 즐겨보신 분들이라면 아실만한, 매우 흔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꼭 반드시 필요한 마인크래프트 서버 파일을 하나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특히 이 포스트를 보시고 계신 분들이라면
마인크래프트 1.7.10 버전의 서버를 열으시려고 준비하시는 분들일텐데요. 마침 잘찾아왔습니다.
1.7.10 에센셜 플러그인 최신버전의 다운로드 및 적용방법이 바로 이번 포스트의 주제인데요.
지금 처음 서버를 열으시는 분이라면 꼭 아셔야 할 서버파일일 정도로 매우 유명한 서버파일입니다.
■ 파일 다운로드 및 적용방법, 간단한 주요 명령어 소개
왜 유명한지 처음 이용하시는 분이라면 그런 궁금증이 드실텐데요. 이 서버파일의 경우, 멀티플레이를 할 때
편리한 기능의 명령어들을 많이 제공한답니다. 자, 이건 설명으로 해드리기에는 한계가 있으니 체험해보시면서
왜 반드시 필요한지 직접 느껴보시도록 하지요. 먼저 마인크래프트 1.7.10 에센셜 플러그인 파일은 이 문구 아래에
zip 압축파일 형태로 업로드를 해놓았습니다. 총 5개의 구성파일로 이루어져 있구요.
위에 파일을 내려받으시면 바로 압축을 풀어주세요.
* 참고로 자세한 명령어 및 노드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은 이곳을 클릭하셔서 열람해주세요. (내가 아는 블로그 링크)
압축을 풀어서 새롭게 생성된 옆 폴더에 들어가보시면 Essentials 이라는 문구가 붙어있는 JAR 형식의 에센셜 플러그인 파일이
5개정도가 있을겁니다. (AntiBuild는 제외하셔도 좋습니다.)
이 5개 서버파일들을 모두 버킷 구동기가 있는 폴더안에 plugins 라는 폴더에다가 넣어주셔서 서버에 파일을 적용시켜주시면 됩니다.
왠만하면 컴퓨터에 자바7 버전도 개인적으로 꼭 설치를 해주시구요.
plugins 에다가 넣으셨으면 서버구동기를 틀으셔서 서버를 켜주시면 됩니다. 그럼 구동기 창에서 로딩문구가 뜰 때
저렇게 막바지에 Essentials 이라는 괄호문구가 뜨면서 파일들이 제대로 서버에 적용되었다는 것을 보실 수 있어요.
자, 서버에 적용도 시켰겠다. 한번 이번 에센셜 서버파일에서의 주요 명령어들을 한번 간단하게 둘러보도록 하지요.
개인적으로 제가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입니다. 첫번째는 /back, 죽었을 때 죽은 원래 지점으로 다시 돌아갈 때 자주 사용합니다.
두번째는 /setspawn, 이건 여러 서버의 어드민분들이 자주 사용합니다. 서버에서 유저분들의 공식 스폰지점을 지정하는 명령어입니다.
원하는 스폰지점에 서신 다음에 명령어를 입력해주시면 해당 지점으로 스폰이 지정됩니다.
스폰 지점으로 바로 가고싶을 경우에는 /spawn 이라고 입력하면 되구요.
세번째 주요 명령어는 바로 위에서 보여드린 spawn 과 비슷한 명령어입니다. spawn 이 모든 유저들에게 적용된다면 이 /sethome 은
개인 유저가 직접 정할 수 있는 개인적인 스폰지점을 지정하는 명령어에요. 이 셋홈 지정을 하신 곳으로 가고 싶을 경우에는 /home 을 치시면 됩니다.
네번째는 /gc 입니다. 이것도 아까 setspawn 처럼 어드민들의 주요 명령어인데요. 채팅창에 /gc 라고 입력을 하시면
현재 서버의 상태가 채팅창에 뜹니다. 서버를 얼마나 켰는지, TPS 라고 서버의 상태를 수치로 표현한 부분도 있구요.
사용하는 메모리양도 상세하게 표시가 됩니다. (TPS의 경우 20에 가까울수록 상태가 안정되어 있는거랍니다.)
이건 이코노미 플러그인에서처럼 유저들의 돈을 보실 수 있는 /money 혹은 /balance 입니다. /balancetop 이라고 치시면 서버내의
유저들의 돈 순위도 보실 수 있어요.
그외에 /tpa <사용자 닉네임> 형식으로 위에처럼 명령어를 입력하셔서 특정 유저에게 텔레포트를 해도 되겠냐는 일종의
요청 문구를 보내실 수도 있습니다. /tpaccept 등으로 요청을 허락하구요.
또 귓속말 기능으로 /w <플레이어 닉네임> <할말> 형식으로 명령어를 입력, 특정 플레이어에게 귓속말을 하실 수 있습니다.
다른 유저들은 못보지만 서버 구동기가 켜져있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어드민은 그 귓속말을 볼 수 있구요.
주요 명령어는 여기까지 소개를 해드리면서 포스트를 마무리 지을까 합니다. 아,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번 서버파일(Plugin)의
자세한 설정은 plugins 폴더 안에 새로 생성되어있는 Essentials 라는 폴더안에 config 라는 워드패드 파일을 이용하셔서
설정을 하실 수 있습니다.